DASAN EM365
당뇨병
췌장에서 분비되는 인슐린 호르몬은 높아진 혈당을 낮추는 역할을 하며 글루카곤 호르몬은
낮아진 혈당을 높이는 역할을 하는데 당뇨병은 우리 몸 안에서 혈당과 관련된 이런 호르몬들의
분비이상으로 지나치게 혈중에서 혈당의 농도가 높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당뇨병의 원인
당뇨병은 유전적인 요인과 여러가지 환경적 요인이 함께 작용하여 생기게 됩니다.
당뇨병은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비만인 경우에는 몸 안의 인슐린 요구량이
증가되어 췌장의 인슐린 분비 기능을 떨어뜨려 당뇨병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잘못된 식습관이나 운동부족, 스트레스, 호르몬 분비 등 당뇨병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check 과식
check 내장지방의 증가로 인슐린 감수성 감소
check 과로의 누적
check 지속적인 스트레스로 인한 대사기능 저하
check 내장지방의 증가
check 혈액 내 노폐물 증가로 인슐린 저향성 증가
당뇨의 유형

제 1형 당뇨

제 1형 당뇨는 췌장의 기능 자체가 고장이 나면서 인슐린 분비가 되지 않는
당뇨병을 말하며, 인슐린을 투약해야합니다

제 2형 당뇨

제 2형 당뇨는 세포 안으로 포도당이 흡수가 안 되는 인슐린저항성으로 혈당이
높아지는 당뇨병입니다. 인슐린 분비가 정상이기 때문에 당뇨가 발생한 원인을 찾아 치료한다면
치료가 가능하며, 당뇨병 초기 인슐린 분비가 정상일 때를 절대 놓치지 않아야 합니다.

당뇨의 치료

경구용 혈당강하제

인슐린 분비를 증가시켜주는 약제, 간에서
포도당으로 만들어 주는 것을 줄여주는 약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켜주는 약제, 장에
포도당 흡수를 늦추어 주는 약제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대부분 병원에서 현재
환자의 질환 상태 및 특성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합니다.

인슐린

제 1형 당뇨병의 경우 체내 인슐린 절대량이
부족하기 때문에 반드시 인슐린 주사가
필요하며, 제2형 당뇨병에서도 급성 합병증,
심한 감염증, 수술전 후, 경구 혈당강하제로
혈당 조절이 잘 안 되는 경우 등에서 인슐린을
사용하게 됩니다. 인슐린 주사 부위는 신경과
혈관 분포가 적으며 피하 지방층이 많은
배 부위를 많이 권장합니다.